LIM HYUN LAK
붓길-'백(白)으로 날아오르다' / A stroke - 'Soar into the space',
Ink on cotton, Installation, Ink on cotton, Dimension variable, Osan Museum of Art, 2021
1초 수묵 - '백(白)으로 날다'
ONE SECOND INK PAINTING - 'Soar into the space'
Osan Museum of Art, Osan, 2021
붓길-'백(白)으로 날아오르다' / A stroke - 'Soar into the space', Installation view, Ink on cotton, Dimension variable, Osan Museum of Art, 2021
1 초 수묵 - 백(白)으로 날다
평생 수묵의 세계를 탐구했던 작가 임현락은 그동안 평면 회화, 설치작품, 비디오,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의 미술을 선보여 왔다. 그는 이번 전시에서 자신의 작업 세계를 잘 드러낼 수 있는 몇몇 특징적 회화작품을 소개한다. 그리고 기존에 행해졌던 설치미술 영역을 더욱 확장하고 창작 방식에 대한 변화를 주고자 시립미술관 2전시실의 긴 구조에서 착안한 설치/공간 미술을 선보인다. 이러한 도전은 2015년 베니스비엔날레 병행전에서 선보인 초대형 회화 작품 <펠레스트리나를 긋다>와 연결되어 10년 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이어온 ‘1초 수묵’을 수평의 구도에서 탐구하고자 하는 의지를 반영한다.
ONE SECOND INK PAINTING - 'SOAR INTO THE SPACE'
Artist Lim Hyunlak has explored the world of ink painting throughout his life, and has been using diverse art genres, including painting, installation work, video, and performance. In this exhibition, he will introduce several distinct paintings that reveal the world of his work. Moreover, he will present the installation/spatial art conceived from the long structure of Exhibition Hall 2 of the museum to expand the domain of existing installation art further, and to change the manner of creation. This challenge reflects his will to utilize the “one-second ink painting” in a horizontal composition, which the artist has been doing for 10 years in connection with his super-sized painting, <Draw the Pellestrina>, that was shown at the 2015 Venice Biennale parallel exhibition.
붓길-'백(白)으로 날아오르다' / A stroke - 'Soar into the space', Installation view, Ink on cotton, Dimension variable, Osan Museum of Art, 2021
바람이 일다 / The wind is rising, 7 pieces, per46x54cm, Ink on Korean paper Hanji, Osan Museum of Art, 2021
붓길-'백(白)으로 날아오르다' / A stroke - 'Soar into the space', Installation view, Ink on cotton, Dimension variable, Osan Museum of Art, 2021
바람이 일다 / The wind is rising, 7 pieces, per46x54cm, Ink on Korean paper Hanji, Osan Museum of Art, 2021
수평으로 바라본 빛과 묵(墨)의 관계
하느님이 세상을 창조하셨을 때 “빛이 있어라”하고 말씀하셨다. 아마도 그 빛은 작은 점이 폭발하여 찰나의 속도로 팽창하는 우주와 같이 인간이 지각할 수 없는 초월적 존재였을 것이다. 평생 수묵의 세계를 탐구해온 작가 임현락의 작품은 붓의 능숙한 놀림에서 비롯되는 폭발적 에너지가 만드는 흑과 백의 조화로서 마치 암흑이 빛에 의해 사라지고 순간 모든 것이 드러나는 태초의 신비롭고 성스러운 광경을 암시하는 것 같다. 아마도 평생 수묵만을 고집하며 단순한 선 긋기에 몰두한 그가 탐구한 세상은 찰나의 빛으로 천지를 창조한 조물주를 닮고자 하는 소망과 그 신비스러운 힘에 대한 동경의 결과인 것 같다. 이러한 생각은 두 가지 동기에서 비롯된다. 첫째는 얼마 전 그와 만남을 통해 바라본 그의 눈빛에서 여러 번 수술대 신세를 져야 했던 암(癌) 환자로서 이제 죽음에 대한 두려움보다는 삶을 다르게 인식하고자 하는 마음을 읽었기 때문이다. 그것은 단순히 삶과 죽음의 문제가 아니라 작품을 통해 스스로 영적인 존재가 될 수 있다는 믿음과 연결된 듯하다. 둘째는 몇 해 전 다시 병상에 누워 신의 뜻에 의지하는 그에게 우연히 맡겨진 천주교 서울대교구 위례성모승천성당(Wirye Catholic Church)의 스테인드글라스 제작을 통해 인간으로의 자애(自愛)보다는 초월적 존재와의 뜻깊은 교감이 그의 창작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예수와 성모마리아의 이야기를 형상화하는 이 과업을 위해 성경을 여러 차례 읽은 그는 오로지 선(線)만을 사용하여 성자와 성모의 흔적을 형상화하는 데 성공한다. 일필(一筆)로 완성한 이 열 다섯 개의 철로 만들어진 수묵 유리화는 단순한 예술품이 아니라 삶의 끝자락에 있는 한 명의 나약한 인간이 성경을 통해 자신을 정화하고 세속과 연결된 육신을 신비롭게 번져 드는 성스러운 빛으로 씻어내는 기도의 결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래서 그의 이미지는 그림을 그리는 붓을 든 예술가보다는 성경을 든 성직자의 풍취가 제법 짙게 배어 나왔다.
붓길-'백(白)으로 날아오르다' / A stroke - 'Soar into the space', Installation view, Ink on cotton, Dimension variable, Osan Museum of Art, 2021
1 초 수묵 / A stroke, duration-'1 second', Ink on linen, 4 pieces(per 91x91cm), Osan Museum of Art, 2021
1 초 수묵 / A stroke, duration-'1 second', Ink on linen, 4 pieces(per 91x91cm), Osan Museum of Art, 2021
문제는 자신의 인생에 있어 여러 번의 중요한 변화를 겪은 그를 위해 전시기획자로서 ‘그의 작품을 어떻게 소개하고 해석할 수 있는 가’였다. 임현락의 세계는 이미 완성되었으며 늦가을의 탐스럽고 기름진 석류 열매와 같이 충만하고 때론 폭발한다. 그래서 그가 삶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는 태도의 변화에 맞춰 이번 전시를 고민해 보았다. 만약, 조물주가 천지를 창조했다면 그것은 아마도 토성의 띠와 같이 우주가 얇게 팽창하는 모습 또는 동쪽 바다에서 태양이 떠오르며 세상을 밝히는 수평의 구도라 상상해본다. 물론, 2015년 베니스비엔날레를 계기로 해안 길에 대형 천을 놓고 먹을 묻힌 빗자루를 쥐고 걸어가며 완성한 <펠레스트리나를 긋다>(Draw the Pellestrina)라는 작품도 있지만, 설치미술에 있어 그가 오랫동안 꾸준히 탐구해온 작품들은 대부분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형태의 수묵 연작이었다. 고대로부터 상·하의 개념은 피라미드와 같이 신분적 차별을 나타내는 동시에 중력과 같은 세속의 물리적 법칙을 따른다. 하지만 수평의 개념은 기독교 문화에서 피조물로서 신 앞의 평등을 의미하며 ‘떨어진다’는 뉴턴의 법칙에서 기인하는 시공간의 선행관계를 모호하게 만들어 초월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여운을 남긴다. 그래서 나는 작가 임현락에게 긴 형태의 미술관 전시장 공간을 충분히 이용한 수평의 작품을 설치하는 계획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관점의 변화는 작품의 형식에 대한 근본적 전환을 요구한다. 사실, 이러한 일은 작가에게 이미 익숙하다. 지금까지 그는 평면에 국한되어 발전해온 한국 전통회화를 설치물로 만들고 퍼포먼스와 영상을 가미하여 자신의 영토를 확장해 왔다. 얼핏 보면 그가 한국화를 서양의 여러 미술사조와 접목하여 해석하는 번역가로 비칠 수 있다. 하지만, 그는 더 나아가 작품 창작 태도와 형식의 변화를 통해 수묵을 평면과 입체 사이의 아리송한 장소로 유인한다. 마치 독일의 사진작가 게르하르 리히터Gerhard Richter가 사진과 회화의 경계에 대한 탐구를 보여주듯, 그 역시 그동안 평면으로 인식되어온 수묵의 효과보다는 물성(物性)에 주목하여 이를 평면도 입체도 아닌 설치미술로 해석하였다. 이처럼 그에게 있어 형식과 태도의 변화는 한 평생 수묵을 고집하였던 그의 자존심이며 작가로서의 존재 이유다. 이번 오산시립미술관에서 개최되는 전시의 제목을 <1초 수묵-‘백(白)으로 날다>라 정했다. 여기서 알 수 있듯 그는 여전히 ‘1초 수묵’을 고집한다. 그리고 ‘백(白)으로 날다’라는 표현에서의 ‘白’은 수묵의 흰 바탕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세상을 밝히는 ‘빛’ 또는 삶에 대한 초월적 자세를 드러내는 자아(自我)를 의미할 수 있다. ‘날아오르는 빛’ 또는 ‘비상하는 자아’, 이것은 바로 인생의 전환기를 맞은 작가의 새로운 삶의 태도와 정신자세를 보여준다.
-연규석(큐레이터 / 부산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장)
붓길-'백(白)으로 날아오르다' / A stroke - 'Soar into the space', installation view, Ink on cotton, Dimension variable, Osan Museum of Art, 2021
호흡-‘1 초’ / Breath-‘1 second’, Ink on paper Hanji, 6 pieces, per 51x70cm, Osan Museum of Art, 2021
.
호흡-‘1 초’ / Breath-‘1 second’, Ink on paper Hanji, 6 pieces, per 51x70cm, Osan Museum of Art, 2021
.
붓길-'백(白)으로 날아오르다' / A stroke - 'Soar into the space', Installation view, Ink on cotton, Dimension variable, Osan Museum of Art, 2021
붓길-'백(白)으로 날아오르다' / A stroke - 'Soar into the space',
Installation view, Ink on cotton, Dimension variable, Osan Museum of Art, 2021
붓길-'백(白)으로 날아오르다' / A stroke - 'Soar into the space',
Installation view, Ink on cotton, Dimension variable, Osan Museum of Art, 2021
The Relationship between Light and Ink from a Horizontal Perspective
When God created the world, he said, "Let there be light." Perhaps light was a transcendent existence that humans could not perceive like the universe, which is expanding at an instantaneous speed after a small dot exploded. The works of Lim Hyunlak, who has been exploring the world of ink throughout his life, are the harmony of black and white created from the explosive energy of the adept strokes of his brush. It seems like his works are suggesting a mysterious and sacred scene in the beginning when the darkness disappears with the light, and everything is revealed. Perhaps the world he explored by immersing himself into drawing simple lines, while insisting on ink all his life could be the result of his desire to resemble the Creator who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 with an instantaneous light and a longing for its mysterious power. This idea comes from two motives. First, when I met him recently, I saw in his eyes his determination to perceive life differently than the fear of death of a cancer patient who had to be on the operating table several times. It was not a simple issue of life and death, but it seemed to be connected to his belief that he could become a spiritual being himself through his works. Second, he said that the meaningful communion with transcendental existence, rather than self-love, through the stained glass at Wirye Catholic Church in the Catholic Archdiocese of Seoul that was accidentally entrusted to him, who was lying on a hospital bed again while relying on the will of God a few years ago, influenced his creation. Having read the bible several times for this task of imagining the story of Jesus and Mary, he succeeded in materializing the traces of the Son and the Virgin through lines. This ink glass painting, which is composed of 15 metals and completed with one brush, is not just a work of art. It reflects the results of a prayer in which a weak human at the end of life purifies himself through the bible and cleanses his body, which is connected to the world, with the divine light that mysteriously permeates. Thus, his image seems to be more of a clergyman holding a bible, rather than an artist holding a paintbrush.
붓길-'백(白)으로 날아오르다' / A stroke - 'Soar into the space', Installation view, Ink on cotton, Dimension variable, Osan Museum of Art, 2021
붓길-'백(白)으로 날아오르다' / A stroke - 'Soar into the space', Installation view, Ink on cotton, Dimension variable, Osan Museum of Art, 2021
붓길-'백(白)으로 날아오르다' / A stroke - 'Soar into the space',
Installation view, Ink on cotton, Dimension variable, Osan Museum of Art, 2021
The problem for an exhibition planner was “how I can introduce and interpret his work.” The artist has gone through several important changes in his life. Lim Hyunlak's world is already complete, and is full and sometimes bursting like an appetizing and rich pomegranate in the late autumn. Thus, I thought about this exhibition in line with the change in his attitude on viewing life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If the Creator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 I imagine it to be as a thinly expanding universe, like the Saturn Belt or a horizontal composition that illuminates the world as the sun rises from the east sea. Of course, there is a work called <Draw the Pellestrina>, which was created by placing a large cloth on a coastal road, and Lim Hyunlak walking with an ink-stained broom during the Venice Biennale in 2015. However, his works were mostly a series of ink paintings in the form of fall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Since the ancient times, the concept of the top and the bottom represents class discrimination like a pyramid. At the same time, it follows secular physical laws like gravity. However, the concept of a horizontal line means equality of creatures in front of God, as in Christian culture, suggesting that it can be interpreted transcendentally by obscuring the preceding relations between space and time, based on Newton's law of “free fall.” Thus, I proposed to Lim Hyunlak to install a horizontal piece of art that fully utilizes the long form of the museum's exhibition space. Such change of perspective requires a fundamental transformation in the form of the work. The artist is already familiar with these things. He has been expanding his territory by making installation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that were limited to the plane, and then adding his performances and images. At a glance, he could be seen as a translator who combines Korean painting with various Western art trends. However, he takes ink to an ambiguous place between 2D and 3D by changing his attitude and form. German photographer Gerhard Richter explores the boundary between photography and painting, but he also focuses on the property of the material rather than the effect of ink, which has been perceived as 2D, and then interprets it as an installation art, neither 2D nor 3D. Therefore, the change in the form and attitude for him is his pride, insisting on ink throughout, and the reason for his existence as an artist.
The title of the exhibition that will be held at the Osan Museum of Art was <One-Second Ink Painting - Soar into the Space>. As you can see, he still insists on “one-second ink painting.” In the expression, “Soar into the Space,” “space” could mean the white space of the background for the ink, but it could also mean the “light” that illuminates the world, or “oneself” that reveals a transcendental attitude toward life. “Flying light” or “soaring self” shows the new attitude and the mental posture toward the life of the artist, who is at a turning point.
- Yeon Kyuseok (Chief Curator / Museum of contemporary Art Busan)
붓길-'백(白)으로 날아오르다' / A stroke - 'Soar into the space', Installation view, Ink on cotton, Dimension variable, Osan Museum of Art, 2021
붓길-'백(白)으로 날아오르다' / A stroke - 'Soar into the space', Installation view, Ink on cotton, Dimension variable, Osan Museum of Art, 2021
붓길-'백(白)으로 날아오르다' / A stroke - 'Soar into the space', Installation view, Ink on cotton, Dimension variable, Osan Museum of Art, 2021
임현락 <1초 수묵-白으로 날다>
수묵화가 임현락 작가가 이번 봄에 선보인 개인전은 지난 몇 년간의 자취를 되돌아보는 성격이 짙습니다. 공간 한 복판에는 길게 드리운 무명천에 필획을 그은 설치작업이 있습니다. 이걸 둘러싼 벽면에는 <1초 수묵>이란 개념을 담은 평면작업이 걸려있고, 그 중에 한 쪽에는 <바람이 일다>라고 이름 붙은 액자 속 그림이 계단 식으로 나열되었습니다. 또 작가가 벽에 글귀도 남겼습니다. "삶은 선 하나, 白으로 날아오르다."라고.
그는 왜 이런 작품을 남기는 걸까요? 저는 몰라서 작가에게 물어봤습니다. 작가는 내게 아주 긴 대답을 했습니다. 1초 간의 필획으로 하나의 그림을 완성하는 작가가 100분의 작품론을 대답으로 남겼습니다. 정리하면 이 말입니다. "다른 방법이 없기 때문에 그리는 것"입니다. 어쩔 수 없다는 뜻입니다. 작가는 어쩔 수 없이 그리고, 그를 포함한 우리 모두는 어쩔 수 없이 죽음을 맞이합니다. 임현락의 작업은 이런 필멸의 원리 앞에 맞서는 감정입니다. 우리는 죽음이라는 피투성에서 자유로울 수 없지만, 작가는 그 영겁의 부재와 유한한 삶을 본인의 뜻대로 세팅하고 싶어합니다.
전시의 중심인 인스톨레이션 작업은 죽은 자를 위한 위령 의식에서 개념과 구성을 가져온 듯 합니다. 길베라고 하죠? 질베라고 부르기도 하고, 길천이라는 말도 있고. 길닦음 의식이죠. 길닦이, 베가름처럼 이것도 지역에 따라 다르게 쓰지만, 형태는 대동소이합니다. 질베는 이승과 저승을 잇는 길 혹은 다리입니다. 임현락 작가는 질베라는 풍습을 예술로 끌어들입니다.
그는 이 작업을 이전에도 대구 강정보 낙동강물에서, 베니스 펠레스트리나의 한 방파제 위에서 벌인 적이 있죠. 같은 작업이지만 방법이나 의미는 조금씩 달랐고, 그게 이번에는 제대로 정리되었습니다. 또 완성도도 가장 크고요. 발터 벤야민이 정리한 예술의 두 가지 가치, 즉 의례적 가치와 전시적 가치에서 앞선 두 번의 시도는 의례적 가치에 무게가 실렸습니다. 반면, 이번에야말로 비로소 의례와 전시 가치가 균형을 잡혔습니다. 또 연출도 극적인 면을 돋웠습니다. 어림잡아 150미터에 달하는 길이 위에 큰 붓으로 그은 획은 어느 지점에 가면 멈추고, 그보다 더 긴 여백의 구획은 점점 공중으로 떠오르다가 조명 없이 캄캄한 공간의 뒷편으로 포개어집니다. 삶과 죽음을 시계열로 상징한 형태입니다
질베 의식과 임현락의 필획 퍼포먼스를 가르는 가장 큰 차이는 망자의 존재입니다. 이 예술 작업에는 당연히 죽은 자가 없습니다. 굳이 말하자면 이 의례에는 임현락 본인을 미리 당겨 쓴다고 할까요? 망자 캐릭터와 상주 포지션을 작가가 겸한 이 셀프 씻김굿은 먹과 붓과 종이, 그리고 흑과 백, 여기에 삶과 죽음을 순수한 형태로 나타냅니다. 선은 한 사람의 인생길입니다. 붓질은 육신의 관점이고, 획이 멈추고 이어지는 백은 혼백의 영역이겠죠.
우리 민속의 형식에서 출발했다고는 하나, 이 작업은 시작이 있고 끝이 있는 단선의 세계관은 아무래도 동양의 불교보다 서양 기독교에 가깝습니다. 작품의 마지막 부분은 예수 부활을 둘러싼 상황을 닮았습니다. 그 설정은 그리스도의 부활을 암시하듯 예수 육신을 쌌던 아마포가 가지런하게 개어진 상황 같지요. 구스타프 말러가 죽음의 두려움 앞에서 음악을 통한 부활을 염원했던 것과 같이, 임현락 작가가 이루고자 하는 부활의 형태가 작품에 담겨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겪게 될 이 길을 작가는 하나의 붓질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대범하고, 동시에 희망이 충만한 미술입니다.
- 윤규홍, 아트맵 디렉터/예술사회학
붓길-'백(白)으로 날아오르다' / A stroke - 'Soar into the space',
Installation view, Ink on cotton, Dimension variable, Osan Museum of Art, 2021
바람이 일다 / The wind is rising,
7 pieces, per 46x54cm, Ink on Korean paper Hanji, Osan Museum of Art, 2021
바람이 일다 / The wind is rising, 7 pieces, per46x54cm, Ink on Korean paper Hanji, Osan Museum of Art, 2021
바람이 일다 / The wind is rising, 7 pieces, per46x54cm, Ink on Korean paper Hanji, Osan Museum of Art, 2021
바람이 일다 / The wind is rising, 7 pieces, per46x54cm, Ink on Korean paper Hanji, Osan Museum of Art, 2021
Exhibition view, Osan Museum of Art, 2021
The Moment / 1 초 수묵 (A stroke, Duration: ‘1 second’), Ink on Linen, 4 pieces, per 91x91cm, Osan Museum of Art, 2021
호흡-‘1 초’ / Breath-‘1 second’, 145x72cm, Ink on Korean paper, Osan Museum of Art, 2021
The Moment / 1 초 수묵 (A stroke, Duration: ‘1 second’)
Ink on Linen, 4 pieces, per 91x91cm, Osan Museum of Art, 2021
© 2022 by Lim Hyun Lak